

UT Bot Alerts
작성자 : QuantNomad
지표설명
UT Bot Alerts는 QuantNomad가 개발한 트레이딩뷰(TradingView) 지표로, 시장의 추세를 식별하고 매수 및 매도 신호를 제공하여 트레이더들이 효과적인 거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습니다.
주요특징
- 추세 식별: UT Bot Alerts는 시장의 상승 및 하락 추세를 감지하여 트레이더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매수/매도 신호: 지표는 매수(Buy) 및 매도(Sell) 신호를 명확하게 표시하여 진입 및 청산 시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사용자 정의 가능: 민감도(Sensitivity)와 ATR 기간 등 주요 매개변수를 사용자의 거래 스타일에 맞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활용방법
트레이딩뷰에서 지표 추가:
트레이딩뷰의 지표 검색창에서 ‘UT Bot Alerts’를 검색하여 차트에 추가합니다.
설정 조정: 지표의 설정에서 Key Vaule를 1에서 2로 수정합니다.
신호를 확인하여 거래전략 수립 :
차트에 표시되는 매수 및 매도 신호를 참고하여 거래 결정을 내립니다.

Smart Money Concepts[LuxAlgo]
작성자 : LuxAlgo
지표설명
LuxAlgo의 Smart Money Concepts(SMC) 지표는 트레이딩뷰(TradingView)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올인원 도구로, 실시간으로 시장 구조를 분석하고 다양한 가격 행동 패턴을 시각화하여 트레이더들이 효과적인 거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주요특징
- 시장 구조 분석: 내부 및 스윙 시장 구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며, 구조의 변화를 나타내는 구조적 돌파(BOS)와 추세 변화(CHoCH)를 자동으로 감지합니다.
- 오더 블록 식별: 강세 및 약세 오더 블록을 감지하여, 기관 투자자들의 주요 매매 영역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동일 고점 및 저점 표시: 동일한 고점(EQH)과 저점(EQL)을 감지하여 잠재적인 추세 반전 지점을 식별합니다.
- 공정 가치 갭(FVG) 감지: 가격 불균형 영역을 강조하여 시장의 비효율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거래 기회를 모색할 수 있습니다.
활용방법
트레이딩뷰에서 지표 추가: 트레이딩뷰의 지표 검색창에서 ‘SMC’를 검색하여 차트에 추가합니다.
설정 : 기본값으로 한다.
3.신호 활용 하여 거래 전략 수립
3-1. 오더 블록:
- 롱(매수)진입: 가격이 남색 오더블럭에 도달시 롱(매수) 포지션 진입할수 있습니다.
- 숏(매도)진입: 가격이 붉은색 오더블럭에 도달시 숏(매도) 포지션 진입할수 있습니다.
3-2. 추세변화(CHoCH)신호:
- 추세 변화 신호 발생시 롱 또는 숏 포지션 진입하고 현재 보유중인 포지션의 손절 또는 익절 신호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Smoothed Heiken Ashi – SamX
작성자 : SamAccountX
지표설명
Smoothed Heiken Ashi – SamX 지표는 기존의 Heiken Ashi 캔들스틱을 개선한 버전으로, 시장의 전반적인 추세를 더 부드럽게 시각화하여 노이즈를 줄이고 더 명확한 트렌드 파악을 돕습니다. 이 지표는 트레이더들이 특히 추세 파악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단기적인 가격 변동에 덜 민감하도록 조정된 것이 특징입니다.
주요 특징
- 스무딩 처리:
- 기존의 Heiken Ashi 캔들에 비해 Smoothed Heiken Ashi는 캔들 계산에 이동 평균(EMA, SMA 등)을 사용해 스무딩을 적용합니다. 이를 통해 가격 변동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더 부드러운 추세선을 제공하여 장기적인 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추세 표시:
- 상승 추세는 흰색 캔들, 하락 추세는 자색 캔들로 표시됩니다. Smoothed Heiken Ashi는 반전 신호를 덜 빈번하게 제공하므로 추세의 강도나 지속 기간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여줍니다.
- 시장 진입 및 청산 시점 개선:
- 노이즈가 줄어든 추세 캔들로 인해 트레이더가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진입 및 청산 신호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장기적인 추세를 따라가는 추세 추종 전략에 적합합니다.
활용 방법
트레이딩뷰에서 지표 추가:
트레이딩뷰의 지표 검색창에서 ‘Smoothed Heiken Ashi – SamX‘를 검색하여 차트에 추가합니다.
설정 조정:
- 인풋에서 Show Wicks 버튼을 체크 해지 해줍니다.
- 인풋에서 HA Price Input Smooting Lenght 를 10에서 15로 변경 해줍니다.
신호를 확인하여 거래전략 수립 :
차트에 표시되는 캔들 색상을 참고하여 거래 결정을 내립니다.
- 롱(매수)진입: 캔들색상이 흰색으로 변할때 롱(매수) 포지션 진입할수 있습니다.
- 숏(매도)진입: 캔들색상이 자색으로 변할때 숏(매도) 포지션 진입할수 있습니다.

Pivot Point Supertrend
작성자 : LonesomeTheBlue
지표설명
Pivot Point Supertrend 지표는 트레이딩뷰(TradingView)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LonesomeTheBlue’라는 사용자가 개발한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
주요 특징
Pivot Point Supertrend는 기존의 Supertrend 지표를 개선한 버전으로, 피벗 포인트(Pivot Point)를 중심선으로 활용하여 추세를 분석합니다. 이 지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습니다:
- 중심선 계산: 최근의 스윙 고점(swing high)과 스윙 저점(swing low)을 기반으로 중심선을 계산합니다.
- ATR(평균 진폭 범위) 활용: 중심선에 ATR 값을 더하거나 빼서 상단과 하단 밴드를 생성합니다. 이를 통해 시장의 변동성을 반영한 지지와 저항 수준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추세 판단: 가격이 상단 밴드를 돌파하면 상승 추세로, 하단 밴드를 하향 돌파하면 하락 추세로 간주하여 매매 신호를 제공합니다.
활용 방법
트레이딩뷰에서 지표 추가:
트레이딩뷰의 지표 검색창에서 ‘Pivot Point Supertrend’를 검색하여 차트에 추가합니다.
설정 조정: 기본 세팅값으로 합니다.
신호를 확인하여 거래전략 수립 :
차트에 표시되는 매매 신호를 참고하여 거래 결정을 내립니다.
- 롱(매수)진입: Buy신호 발생시 롱(매수) 포지션 진입할수 있습니다.
- 숏(매도)진입: Sell신호 발생시 숏(매도) 포지션 진입할수 있습니다.

Ichimoku Cloud
작성자 : 고이치 호사다
지표설명
이치모쿠 클라우드는 일본의 고이치 호사다가 개발한 기술적 분석 지표로, 복잡한 시장 상황을 “한눈(Ichimoku)”에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지표는 주로 지지선과 저항선, 추세 방향, 모멘텀 및 거래 신호를 포괄적으로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요 특징
주요 구성요소
- 전환선(Tenkan-sen)
- 기준선(Kijun-sen)
- 선행스팬 1(Senkou Span A)
- 선행스팬 2(Senkou Span B)
- 후행스팬(Chikou Span)
- 클라우드(Kumo)
- 전환선과 기준선의 교차
- 가격과 클라우드의 위치
- 후행스팬(Chikou Span)
활용 방법
추세 확인
구름이 녹색시 상승추세 붉은색시 하락 추세로 판단.
거래 신호 생성
전환선과 기준선이 골든크로스시 롱진입, 데드 크로스시 숏진입합니다.

Next Pivot Projection[Trendoscope]
작성자 : Trendoscope
지표설명
Next Pivot Projection [Trendoscope] 지표는 트레이딩뷰(TradingView)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분석 도구로, 향후 피벗(Pivot) 레벨을 예측하고 주요 지지 및 저항 수준을 시각적으로 나타냅니다. 이 지표는 가격 움직임에 기반하여 차트 상에 중요한 가격 수준을 미리 표시함으로써, 트레이더들이 다음 움직임을 계획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주요 특징
- 피벗 포인트 :
- 향후 피벗 표시:
- 지지와 저항:
- 미래 예측 기반의 계획:.
활용 방법
- 지지/저항 구역 확인:
- 차트 상의 피벗 레벨을 사용하여 주요 지지와 저항 구역을 파악합니다.
- 가격이 예상된 피벗 레벨에 도달하면 반전 가능성을 고려하거나 돌파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매매 전략 수립:
- 피벗 포인트 근처에서 진입/청산 지점을 설정하여 리스크를 줄이고 효율적인 매매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변동성 모니터링:
- 피벗 레벨 사이의 간격을 통해 시장의 변동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간격이 좁다면 시장이 안정적이고, 넓다면 변동성이 크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 지지/저항 구역 확인: